“금메달과 은메달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수치다…” 황영조 자신과 이봉주를 비교하는 기자에게 참다 못해 뱉은 충격적인 한마디, 금메달과 은메달의 기싸움

우리는 한국 마라톤 최고의 금메달 리스트를 2002년 작고하신 고 손기정 선생님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한국 스포츠계를 통틀어 최초의 금메달이기도 한데요.

하지만 슬프게도 고 손기정 선생님의 금메달은 공식적으로 올림픽 역사엔 일본의 금메달로 기록이 되어있습니다. 바로 일제 강점기 시기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56년이 지난 1992년 마침내 황영조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손기정 선생과 우리 민족이 가졌던 오랜 한을 풀어주게 됩니다.

손기정 선생이 바라보는 앞에서 금메달을 땄기에 더욱 의미가 큰 금메달이었습니다.

당시 손기정 선생이 황영조가 자신의 국적을 찾아줬다고 말할 정도로 민족의 최고 스포츠 영웅으로 등극했던 황영조의 인기는 지금의 김연아 선수와도 비교가 안 될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그가 은퇴한 후 동갑내기 친구이자 훈련 파트너였던 이봉주가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3초 차이로 은메달을 땄는데요.

어느 순간 한국 마라톤 하면 공식처럼 떠오르던 황영조란 이름은 신기하게도 이봉주로 대체되는 현상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메달을 딴 황영조가 어째서 은메달을 딴 이봉주 보다 덜 주목을 받게 된 것일까요?

황영조는 한국 마라톤계가 일제 강점기의 한을 풀고자 민족의 숙원처럼 그토록 찾아다녔던 마라톤 천재였습니다.

그는 아버지가 월남전 후유증으로 집안이 어려움을 겪자 자식들을 위해 고생하는 어머니를 보며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오직 마라톤만이 돈도 빽도 통하지 않는 정직한 운동이다. 내 어머니를 위해서라도 마라톤에서 반드시 성공한다.”

이런 독기로 똘똘 뭉친 그는 타고난 재능이 더해지며 항상 학창시절 때 부터 에이스의 자리를 놓치 않았다고 합니다.

운동을 시작한 이래로 항상 1등을 하며 주목받던 과정은 뒤에 이어질 그의 건방진 고백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봉주는 황영조와 동갑내기 친구이자 동료였고 심지어 자신의 아내와 황영조는 같은 고향 친구였기에 황영조가 중매를 서 그의 아내를 소개시켜주었는데요.

이 둘은 오랜 친구이자 동시대를 함께 경쟁했던 라이벌이기도 했습니다.

애틀란타 은메달을 따기까지 늘 황영조의 그늘에 가려졌던 이봉주는 한번은 하늘을 향해 이런 원망을 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신이시여, 왜 저에겐 황영조의 심장을 주지 않았습니까” 이봉주가 이런 탄식을 할 정도로 황영조는 엄청난 폐활량을 자랑했다고 하는데요.

폐활량이라는 것은 훈련을 해도 늘릴 수 있는 선천적 한계가 있기에 일각에선 해녀 출신 어머니의 유전자가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황영조는 이런 재능과 노력으로 1992년 금메달을 획득 하였고 2년 후 일본의 땅에서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차지하며 또 한 번 큰 환호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봉주가 은메달을 땄던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을 준비하던 중 동아국제마라톤 대회에서 발바닥이 찢어지는 부상을 입고맙니다.

황영조는 이 대회에서 3위안에 들어야 올림픽에 나갈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안타깝게 4위에 머무르게 되고 이봉주에게 출전권을 양보하게 되고 27살 한창인 나이에 돌연 은퇴를 합니다.

그리고 이봉주는 황영조가 탈락한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을 통해 은메달을 따게 됩니다.

하지만 이봉주가 은메달임에도 황영조의 인기를 넘을 수 있는 배경은 황영조의 음주운전, 불법전대 의혹, 여성편력 논란 등 황영조의 좋지 못한 사생활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대중들은 인성 문제로 추락한 금메달리스트 황영조 대신에 비록 은메달이지만 잡음이 없는 이봉주를 마라톤 영웅으로 선택하였습니다.

또한 그가 한국 신기록을 기록하자 진짜 에이스는 이봉주라고 치켜 세웁니다. 이런 라이벌 구도에 대해 황영조는 솔직한 심경을 토로하였는데요.

“나는 이봉주를 내 라이벌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다.”, “고등학교 시절, 사실 나는 봉주의 이름조차 제대로 몰랐다.”, “나는 경기 할 때나 훈련을 할 때 나 이봉주에게 져본 적이 없다.”

“그냥 나는 이봉주를 라이벌이 아닌 좋은 훈련 파트너로 여겼었다.”, “운동이란 보이지 않는 기세가 있다. 내가 은퇴를 했기 때문에 봉주가 심적으로 편해져서 마음껏 날아다닐 수 있던 측면이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한다.”

이런 황영조의 다소 건방지고 겸손하지 못했던 인터뷰는 인성 논란에 더욱 기름을 부으며 오히려 자신의 위상을 추락시키고 맙니다.

물론 운동인으로써의 자존심이 있겠지만 좀 더 자중하고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다른 기사도 함께 읽어보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