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개그맨 박지선이 모친과 함께 숨진 채 발견되며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그녀는 이제 불과 36세로, 평소 누구보다 밝고 활기찼던 그녀였기에 팬들의 안타까움은 더욱 크게 느껴집니다. 박지선은 2007년 KBS 22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며 화려한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고려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한 지성까지 겸비한 개그맨이었기에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현장에는 그녀의 모친이 쓴 것으로 보이는 노트 한 장짜리 메모가 남겨져 있었는데, 그 메모에 따르면 박지선은 피부 질환으로 힘들어 했고, 최근 다른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피부병이 악화되어 심신이 지쳐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딸을 홀로 남겨두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전하며, 마지막으로 남편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딸만 혼자 보낼 수 없다”는 문장은 박지선이 극단적인 선택을 고려했음을 암시하는 대목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모친이 박지선과 함께 극단적 선택을 결심하고 이를 기록했다는 추측도 있지만, 박지선과는 달리 모친 최씨에게는 이러한 동기가 없었기 때문에 의문이 남습니다. 한 방송 관계자는 “모녀 사이가 매우 각별했다고 알고 있다”며, “상식적으로 어머니가 딸을 말려야 할 상황에서 함께 그런 시도를 했다는 것은 믿기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아마도 딸의 상태가 돌이킬 수 없음을 목격한 모친이 유서를 쓰고 뒤따라 잘못된 선택을 하지 않았을까”라는 추측을 내놓았습니다.
그렇다면 박지선의 유서가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단순한 추측을 넘어서, 모녀의 마지막 선택을 이해하고자 하는 분들이 읽었으면 하는 기사가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기사는 2012년 5월 박지선의 인터뷰를 담고 있습니다. 그 인터뷰에서 박지선은 “생얼로 다닐 수밖에 없었다”며, 오랜 투병 이후 “덤으로 얻은 삶을 살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녀는 “덤으로 얻은 삶”이라는 표현에서 눈을 뗄 수 없었고, 이 구절에서 모녀의 선택이 조금은 이해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박지선의 사망 소식은 많은 이들에게 믿기지 않는 충격이었습니다. 그녀는 연예계에서 악플에 흔들리지 않고 강한 모습을 보였던 인물이었기 때문입니다. 박지선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지지해주는 가족 덕분에 자존감이 높았고, 그로 인해 그녀의 마지막 선택에는 우울증과는 다른 형태의 고통이 존재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 고통이 무엇이었을지, 그녀의 과거 기사들을 통해 조금이라도 그 마음을 헤아릴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박지선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끔찍한 고통을 홀로 견뎠고, 어머니는 대신 아파줄 수 없었던 마음으로 가슴 아파하셨을 겁니다. 그녀는 “덤으로 얻은 삶”이라며 최선을 다해 살았고, 어쩌면 그 삶의 마지막을 담담하게 맞이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오랜 투병을 견뎌온 딸이 끝내 삶의 끈을 놓았다면, 차마 그 딸을 홀로 보낼 수 없었던 어머니의 마음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박지선이 숨지기 이틀 전, 한 주민이 마트에서 박지선과 그녀의 어머니를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그 마트 점원은 박지선의 안색이 좋지 않았다는 말을 전하며, 사망 소식을 듣고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박지선의 질병이 화제가 되었고, 박지선이 수술을 앞두고 있었던 사실이 전해졌습니다. 박지선은 수술이 걱정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작은 수술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박지선의 어머니는 그녀의 수술을 챙기기 위해 올라왔고, 그녀의 건강 상태는 결코 가벼운 상태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최씨는 딸과 함께 지내며 딸의 상태를 돌봤고, 박지선은 자신의 피부질환 때문에 어머니도 화장을 하지 않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박지선의 자존감은 부모님의 사랑 덕분이었고, 그녀는 항상 부모님께 애정을 느끼며 살아갔습니다. 그녀는 “우리 엄마 화장대인 로션 하나, 스킨 하나”라며, 화장을 하지 못하는 자신과 어머니의 애틋한 관계를 전했습니다. 박지선은 부모님에게 받은 사랑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자신도 그 사랑에 부응하고자 했습니다.
박지선의 마지막 선택에 대한 논란과 추측은 계속되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사망에 대해 애도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그동안 많은 사랑을 받으며 살아왔고, 그 사랑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기억될 것입니다.